[AWS] EC2에 Docker 환경 구성하기
AWS의 가상 컴퓨팅 서비스인 EC2는 Debian과 Ubuntu, Suse, CentOS, Windows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AMI(Amazon Machine Image) 형태로 지원한다. EC2 환경에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AWS의 가상 컴퓨팅 서비스인 EC2는 Debian과 Ubuntu, Suse, CentOS, Windows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AMI(Amazon Machine Image) 형태로 지원한다. EC2 환경에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볼트를 운영하다 보면 이런 대화를 종종 듣게 된다.
»mysql은 상당히 폭넓게 사용되는 DBMS로, 모바일 환경의 서비스 구축 시에도 많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춰 커스터마이징된 여러 가지 버전이 제공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MariaDB, AWS Aurora DB, AWS RDS 등이 있다. 물론 표준 mysql도 많이 사용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볼트를 mysql 서버에 연결하여, 짧은 유효기간을 가지는 유저와 패스워드를 발급받는 실습을 진행해보도록 하겠다.
»볼트에는 정적 시크릿(Static Secret)과 동적 시크릿(Dynamic Secret)의 개념이 존재한다. 정적 시크릿은 고정된 패스워드나 API 키, 인증값 등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모든 종류의 시크릿을 의미하며, 앞에서 우리가 실습한 값들 역시 여기에 해당한다. 개발자나 운영자는 필요한 만큼 시크릿 패스를 정의하여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하나의 패스 아래에 여러 개의 값을 동시에 지정할 수도 있다. 이런 값은 개발자나 시스템 운영자가 직접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볼트는 서버 애플리케이션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보안 정보를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크릿 관리 도구이다. 테라폼(Terraform)으로 유명한 하시코프에서 만들었으며, 서버 - 클라이언트 구조로 동작한다.
»알약이나 알집 시리즈를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알패스(ALPass)에 대해 한번 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알패스는 모든 웹사이트의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웹사이트 접속시 자동으로 패스워드 입력을 대행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최근에는 라스트패스 또는 크롬 패스워드 같은 플러그인도 많이 사용된다.
»스프링에서 빈(Bean)은 컨테이너에 의해 직접 생성, 관리되는 핵심 객체이다. 스프링 거의 그 자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중요도가 높으며, 많은 역할을 한다. 개발자 면접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질문 중 하나인 IoC나 DI 등도 모두 빈과 관련이 있는 만큼, 스프링 프로그래밍을 위해서는 빈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는 빈을 이해하는 것이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익히는 첫 단계라고 생각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빈의 핵심 개념과 사용법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지난 시간에는 Gradle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태스크를 직접 정의하고 Gradle을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Gradle은 소프트웨어를 빌드하거나 의존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범용 오픈 소스 빌드 자동화 도구이다. 주로 스프링 부트 계열의 자바 프로젝트나 안드로이드 빌드 시스템으로 사용되지만, 그 외 다양한 플랫폼과 소프트웨어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설계되어 있다.
»오라클이 자바를 인수한 후로, 꽤 많은 것이 바뀌어 버렸다. 가장 크게 와 닿는 것이 JDK를 다운로드할 때의 귀찮음인데, 이는 오라클이 과거 버전의 JDK를 내려받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오라클 로그인 및 회원 가입을 거쳐야 하도록 만들어버렸기 때문이다. JAVA 11, JAVA 12, JAVA 13, … 등 버전을 급속도로 올리는 것도 마음에 들지 않기는 매한가지다.
»